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수면 질환인 기면증에 대해서 아시나요?

by 혀니엔젤
반응형

안녕하세요! 열정녀 혀니맘이예요.

오늘은 기면증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저도 그렇지만 봄이 되고 따뜻한 날씨가 되면 유독 낮에 졸음이 오는 걸 느낄텐데요. 보통 우리는 이걸 춘곤증이라 부르는데 춘곤증과 기면증은 완전 다른 질환입니다. 보통 기면증은 야간에 충분한 수면을 취해도 낮에 심하게 졸음이 와서 정상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는 정도입니다. 그럼 기면증이 생기는 이유와 증상, 그 치료법은 무엇일까요?

기면증 원인

기면증은 단순한 심리적 요인에 의한 질환이 아니며 중추신경계 내의 하이포크레틴 전달 이상이 병의 원인과 관련된다고 추정합니다. 하이포크레틴(hypocretin)이란 자율신경계와 내분비를 활성화시키고 감정이나 동기를 유발하는 시상하부에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신체감각 조절에 도움을 주는 뇌단백질입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원인을 얘기하면 중추신경계에서 이 하이포크레틴을 가진 50,000-100,000개의 시상하부 신경세포의 소실이 되면서 기면증이 발생하고 이 질환은 청소년기에 처음으로 많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기면증 증상

  1. 수면발작
  2. 탈력발작
  3. 입수면기의 환각
  4. 수면 마비

가장 흔한 증상은 수면발작(=주간졸림, 밤에 충분한 수면을 취해도 낮 시간대 심하게 졸음), 탈력발작(갑작스럽게 근력의 손실이 오는 증상), 입수면기의 환각(잠이 들때나 깰때의 환각 증상),수면 마비(가위 눌림과 같은 증상) 등 네 가지의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납니다. 보통 수면 발작은 나도 모르게 잠에 빠져 들고 15분~20분 정도 수면을 취하면 다시 정신이 깨어납니다. 이러한 기면증 증상들은 한꺼번에 나타나는게 아니라 점차 각각의 증상들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기면증 치료방법

1. 약물 치료

기면증의 경우 뇌가 깨어있지 않고 계속 잠에 빠지는 증상이기 때문에 보통 각성제를 처방밥고 탈력 발작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항우울제도 처방합니다. 보통 약물 치료로 인해서 증상이 완화가 되지만 그렇다고 100% 완치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2. 행동 요법

약물 치료도 중요하지만 규칙적인 수면 습관과 건강한 생활습관, 심리 상담 등이 기본적으로 같이 병행되어야 더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밤에 규치적으로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낮에 너무 졸릴 경우 약 15~20분 정도 낮잠을 잡니다. 그리고 탄수화물 섭취가 많아져서 인슐린 수치가 오르면 이 또한 졸음이 올 수 있는 요인입니다. 적절한 식사량과 탄수화물 섭취도 지켜주세요.

마치며

기면증은 학생들의 학습 집중력 방해, 직장생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운전 시 이러한 기면증 증상이 발생한다면 정말 위험한 상황입니다. 최근에는 전문적인 수면클리닉 또는 대학병원 내 수면센터들이 있기 때문에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서 정확한 진단을 받고 치료받는 것을 권장합니다.

반응형

loading